우렁이농법
페이지 정보
글쓴이 : 우렁이천국
조회 : 2,555회
본문
우렁이농법
우렁이농법은 논에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대지역이 원산인 우렁이를 이용해 논잡초를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농법이다.
우렁이농법의 특성
왕우렁이의 생존한계 물의 온도는 최저 2, 최고 33℃로 알려져 있다. 먹이는 주로 밤에 먹으며 수면에 접하거나 물속에 있는 먹이만을 먹기 때문에 크게 자라 수면 위로 올라온 식물은 먹지 못한다. 이동은 배다리로 이동하지만 물위로 떠올라 흐는 물과 함께 떠내려가 장거리 이동도 가능하며 건조한 땅위에는 이동하지 못하고 죽게 된다.
벼재배에 있어서 우렁이농법의 특징은 우렁이의 자연적인 먹이습성을 이용해 효과를 보고 있는 농법이다. 잡초가 우렁이의 먹이로 전환되는 친환경적인 벼 재배 농법이다. 자연생태계를 보호하는 환경농업 기술로 논토양을 보호하고 지력을 회복시키며 제초제 등으로 인한 위험에서 탈피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벼재배에 있어서 우렁이농법의 특징은 우렁이의 자연적인 먹이습성을 이용해 효과를 보고 있는 농법이다. 잡초가 우렁이의 먹이로 전환되는 친환경적인 벼 재배 농법이다. 자연생태계를 보호하는 환경농업 기술로 논토양을 보호하고 지력을 회복시키며 제초제 등으로 인한 위험에서 탈피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우렁이를 이용한 벼 재배
일반적인 방법으로 2회 경운하며 1회 정지작업을 한다. 우렁이는 수면과 수면 아래에 있는 식물을 먹기 때문에 눈의 정지작업은 균일하게 해 깊은 곳이 없도록 해야 한다.
우렁이 이동거리는 물이 있거나 습한 곳에서는 상당히 멀리 이동한다. 특히 수면위로 떠오는 우렁이는 흐르는 물의 흐름에 따라 아주 멀리 이동한다. 따라서 우렁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논두렁과 배수로에 구멍이 조밀한 나이론 그물망으로 울타리를 설치해야 한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2회 경운하며 1회 정지작업을 한다. 우렁이는 수면과 수면 아래에 있는 식물을 먹기 때문에 눈의 정지작업은 균일하게 해 깊은 곳이 없도록 해야 한다.
우렁이 이동거리는 물이 있거나 습한 곳에서는 상당히 멀리 이동한다. 특히 수면위로 떠오는 우렁이는 흐르는 물의 흐름에 따라 아주 멀리 이동한다. 따라서 우렁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논두렁과 배수로에 구멍이 조밀한 나이론 그물망으로 울타리를 설치해야 한다.
양질의 우렁이 구입이 농법의 성패를 좌우
우렁이는 농가에서 직접 양식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전문양식장에서 미리 계약하여 구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우렁이 농법의 성공은 최우선적으로 양질의 우렁이를 구입하는 것에 달려 있다. 우렁이의 구입은 2~3개월 정도 자란 5~30g의 중(80%)?성패(20%)가 좋다. 또한 껍질이 윤기가 흐르고 건강한 것으로 구입해 입식해야 왕성하게 산란하며, 입식 초기에 제초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만큼의 많은 개체수를 확보해야 제초 효과가 높다. 우렁이의 구입비는 전문양식장 마다 시세 차이가 있지만 직경 1~2cm의 중패를 기준으로 kg당 5,000~8,000원으로 10a 당 5kg 구입시 25,000~4,0000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우렁이가 배수로를 통하여 하천과 같은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관개수 소홀로 논둑에 물이 넘치면서 다른 논으로 이동을 막기 위해 나이론 그물망으로 높이 100cm 내외의 망울타리를 배수로와 논둑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우렁이는 농가에서 직접 양식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전문양식장에서 미리 계약하여 구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우렁이 농법의 성공은 최우선적으로 양질의 우렁이를 구입하는 것에 달려 있다. 우렁이의 구입은 2~3개월 정도 자란 5~30g의 중(80%)?성패(20%)가 좋다. 또한 껍질이 윤기가 흐르고 건강한 것으로 구입해 입식해야 왕성하게 산란하며, 입식 초기에 제초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만큼의 많은 개체수를 확보해야 제초 효과가 높다. 우렁이의 구입비는 전문양식장 마다 시세 차이가 있지만 직경 1~2cm의 중패를 기준으로 kg당 5,000~8,000원으로 10a 당 5kg 구입시 25,000~4,0000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우렁이가 배수로를 통하여 하천과 같은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관개수 소홀로 논둑에 물이 넘치면서 다른 논으로 이동을 막기 위해 나이론 그물망으로 높이 100cm 내외의 망울타리를 배수로와 논둑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10a 당 5kg이 정량
육묘 후 30~35일된 모를 평당 65~75주로 기계이앙 하고난 뒤, 준비된 우렁이를 입식해야 한다. 우렁이를 이앙 후 5~7일경에 중?성패를 5kg/10a를 입식하는 것이 제초효과를 가장 높일 수 있다. 직경이 1~2cm 이고 5g 미만인 치패일 경우에도 5kg/10a 입식하면 입식하는 개체수가 많으므로 제초효과는 중?성패를 입식하는 것과 비슷한 제초효과를 보인다.
이앙직후에 우렁이를 입식해도 제초효과는 높으나 이앙 후 모는 바로 착근하지 못하고 물속에 잠겨 있거나 수면에 잎이 처져 있기 때문에 입식한 우렁이의 피해를 받기 쉽다. 그러나 이앙 후 5~7일 정도 경과해 새뿌리가 나오고 착근이 되면 모가 수직으로 서고, 키가 자라 수면위로 나오게 되며 이때부터는 우렁이의 피해를 입지 않는다. 그리고 이 시기는 수면 아래의 잡초 종자가 발아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발아와 동시에 우렁이의 먹이가 된다.
한편 우렁이 입식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한 잡초가 자라서 수면위로 올라오게 되므로 우렁이가 잡초를 먹을 수 없어 제초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답에 이앙된 모에 피해가 없고 제초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앙 후 5~7일 경에 우렁이를 입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육묘 후 30~35일된 모를 평당 65~75주로 기계이앙 하고난 뒤, 준비된 우렁이를 입식해야 한다. 우렁이를 이앙 후 5~7일경에 중?성패를 5kg/10a를 입식하는 것이 제초효과를 가장 높일 수 있다. 직경이 1~2cm 이고 5g 미만인 치패일 경우에도 5kg/10a 입식하면 입식하는 개체수가 많으므로 제초효과는 중?성패를 입식하는 것과 비슷한 제초효과를 보인다.
이앙직후에 우렁이를 입식해도 제초효과는 높으나 이앙 후 모는 바로 착근하지 못하고 물속에 잠겨 있거나 수면에 잎이 처져 있기 때문에 입식한 우렁이의 피해를 받기 쉽다. 그러나 이앙 후 5~7일 정도 경과해 새뿌리가 나오고 착근이 되면 모가 수직으로 서고, 키가 자라 수면위로 나오게 되며 이때부터는 우렁이의 피해를 입지 않는다. 그리고 이 시기는 수면 아래의 잡초 종자가 발아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발아와 동시에 우렁이의 먹이가 된다.
한편 우렁이 입식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한 잡초가 자라서 수면위로 올라오게 되므로 우렁이가 잡초를 먹을 수 없어 제초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답에 이앙된 모에 피해가 없고 제초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앙 후 5~7일 경에 우렁이를 입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렁이 입식 후 논의 관리
우렁이를 입식한 논에는 제초제를 비롯한 살충?살균제의 입제 농약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잎과 줄기에 살포하는 희석제의 농약도 생육초기에는 살포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살충제의 사용은 우렁이의 생존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우렁이에 의한 이앙 직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만식적응성이 큰 품종을 육묘기간을 늘려 40일 정도되는 성모로 이앙을 하는 방법과, 이앙 초기에 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렁이를 위한 다른 먹이를 논에 투입하는 방법들이 검토되어야 한다.
우렁이를 입식한 논에는 제초제를 비롯한 살충?살균제의 입제 농약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잎과 줄기에 살포하는 희석제의 농약도 생육초기에는 살포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살충제의 사용은 우렁이의 생존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우렁이에 의한 이앙 직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만식적응성이 큰 품종을 육묘기간을 늘려 40일 정도되는 성모로 이앙을 하는 방법과, 이앙 초기에 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렁이를 위한 다른 먹이를 논에 투입하는 방법들이 검토되어야 한다.
우렁이 농법의 효과
먹이습성을 이용해 제초제를 대용한 우렁이농법은 논농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제초제를 생물적 자원으로 대처함으로써 토양 및 수질오염 방지와 생태계 보호 등 친환경농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농산물의 농약오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고품질 쌀 생산과 농가 소득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우렁이는 피, 물달개비, 사마귀, 풀알방동사니 등 논에서 나타나는 전 잡초종을 먹는 먹이습성으로 인해 적정한 입식량과 입식시기에 논에 방사하면 이앙 초기부터 확실한 제초효과를 볼 수 있다. 우렁이는 잡초가 지속적으로 발아해 올라온다 하더라도 계속적으로 먹어 치우기 때문에 우렁이가 생존하는 한 제초효과는 지속적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렁이 농법은 제초제를 살포하지 않기 때문에 유용 토양미생물들을 보호하여 논의 표층에서 토양유기물 분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논토양의 물리화학적 개선에도 도움이 되어서 저위 생산답의 개량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생산량 증가를 위해 무분별한 농약사용 및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 산성화, 오염된 논토양을 물리화학적으로 개선해 지력을 회복시킨다.
먹이습성을 이용해 제초제를 대용한 우렁이농법은 논농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제초제를 생물적 자원으로 대처함으로써 토양 및 수질오염 방지와 생태계 보호 등 친환경농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농산물의 농약오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고품질 쌀 생산과 농가 소득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우렁이는 피, 물달개비, 사마귀, 풀알방동사니 등 논에서 나타나는 전 잡초종을 먹는 먹이습성으로 인해 적정한 입식량과 입식시기에 논에 방사하면 이앙 초기부터 확실한 제초효과를 볼 수 있다. 우렁이는 잡초가 지속적으로 발아해 올라온다 하더라도 계속적으로 먹어 치우기 때문에 우렁이가 생존하는 한 제초효과는 지속적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렁이 농법은 제초제를 살포하지 않기 때문에 유용 토양미생물들을 보호하여 논의 표층에서 토양유기물 분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논토양의 물리화학적 개선에도 도움이 되어서 저위 생산답의 개량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생산량 증가를 위해 무분별한 농약사용 및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 산성화, 오염된 논토양을 물리화학적으로 개선해 지력을 회복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