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왕우렁이농법
페이지 정보
글쓴이 : 우렁이천국
조회 : 3,897회
본문


왕우렁이는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유역 얕은 호수나 늪지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논, 하천, 저수지 등에 자생하는 우렁이(일명 : 논 고동)와 형태가 흡사한 배다리로 이동하는 연체동물이다.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1981년 일본을 왕래하는 사람들이 들여오기 시작하였다. 왕우렁이라는 이름은 이때 양식하는 사람들이 토종우렁이보다 크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왕우렁이는 토종종자와는 형태만 비슷할 뿐 알로서 번식하는 아주 다른 종류다. 왕우렁이는 폐호흡을 하면서 물속 밑바닥을 배다리로 기어다니며 생활하지만 먹이를 먹거나 물 속의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수면 위로 떠오른다. 암수는 다른 몸이며 교미후 3~7일에 붉은 색의 여러개 알이 뭉쳐진 알덩어리를 벼,풀잎이나 서식지 시설물의 벽에 붙여 산란한다. 1년된 어미는 15~30일 간격으로 매회 100~900개 정도를 산란하는데 연간 10회 정도 산란한다. 알에서 새끼가 깨어나는 기간은 적정온도에서 7~15일이 소요되고 어린새끼는 3개월 정도가 되면 어른우렁(20~30g)이가 된다. 왕우렁이의 활동은 낮 한계 물의 온도는 최저 2℃, 최고 38℃이다. 왕우렁이의 활동은 낮보다는 밤에,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왕성하며 수온이 낮아지면 활동범위가 줄어든다. 먹이는 주로 밤에 먹으며 수면에 접하거나 물속에 있는 먹이만을 먹기 때문에 크게 자라 물위로 올라온 식물은 먹지 못한다. 물위로 떠올라 흐르는 물과 함께 떠내려가 장거리까지 이동하지만 건조한 땅위에서는 이동하지 못한다. |

왕우렁이는 수면과 수면아래 있는 채소, 수초, 연한 풀을 먹는 먹이습성이 있다. 이런 먹이 습성을 이용하여 벼 논에서 발생되는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생물적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방사할 논의 준비작업 왕우렁이는 수면과 수면 아래에 있는 식물들을 먹기 때문에 논의 정지작업은 균일하게 하여 깊은 곳이 없도록 하고 가능한한 물을 얕게하여 이앙하여야 물속에 모가 잠기지 않아 피해가 없다. 왕우렁이 이동거리는 물이 있거나 습한 곳에서는 상당히 멀리 이동한다. 따라서 왕우렁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논두렁과 배수로에 구멍이 조밀한 망으로 울타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장마철에 비가 많이와도 논두렁으로 물이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도망하는 우렁이가 없다. 2. 벼 품종선택 및 약제처리 • 무농약 재배로 병해충에 강한 품종선택 - 적당한 품종 : 대진, 서진, 화성, 대안벼 - 부적당한 품종 : 일품, 추청벼등 • 자바라종자처리제 사용(살충+살균)으로 벼물바구미, 잎도열병방제 (자바라종자처리제 사용시 못자리시기 및 이앙일을 늦게 할 필요는 없음) 우렁이종법은 무농약 재배를 원칙으로 하나 이앙초기(5-6월) 벼물바구미 피해가 심하므로 최소한의 농약으로 우렁이에 피해가 없으며 수생동물에도 큰피해가 없는 자바라종자처리제를 못자리설치 파종전 처리(소독-침종-싹틔우기 1-2mm 습분의 처리-파종)하여 안전한 왕우렁이 벼재배 실천 - 소요량 : 종자㎏당 10a 습분의 처리 10a당 50g소요(1ha 500g) 3. 논에 우렁이 넣는 시기 이앙후 7일경에 넣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앙적기는 5월 25일 ~30일임. 이앙 직후에 넣어도 제초효과는 높으나 이앙묘에 피해가 있다. 이앙직후 모는 착근하지 않은 상태로 물속에 잠겨 있거나 수면에 잎이 쳐져 있기 때문에 왕우렁이의 피해를 받기 쉽다. 그러나 이앙해서 7일정도 경과하여 새 뿌리가 나오고 자리를 잡아 모가 바르게 서고 키가 자라 수면위로 나오게 되면 왕우렁이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는 수면아래의 잡초 종자가 발아하는 시기임으로 발아와 동시에 왕우렁이의 먹이가 된다. 또한 왕우렁이가 잡초를 먹을 수 없어 제초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벼에 피해가 없고 제초효과를 높일수 있는 이앙7일에 왕우렁이를 넣어야 한다. 4. 왕우렁이 넣는 량 이앙7일후 종자우렁이를 넣어 주는 량은 300평당 7~8㎏을 넣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

1. 물관리는 가능한 깊게 관리 2. 본답 농약사용은 가능한한 제한 우렁이를 넣은 논에는 제초제를 비롯한 살충ㆍ살균제의 입제농약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특히 살충제의 사용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 3. 배수로와 논뚝 망사울타리 설치로 도망 방지 왕우렁이는 물의 흐름에 이동이 용이하여 배수로에 망사를 설치하지 않으면 수시간만에 인근논이나 하천으로 이동하여 소기의 목적을 거둘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장마철 강우에 의한 논물이 논뚝을 넘을 경우 일시에 손실된다. 논뚝을 일반답보다 10~20㎝ 높게 설치하거나 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조류피해 방지 백로와 같은 조류가 몰려와 우렁이를 잡아먹는 경우가 있으나 증식량이 많아 큰문제는 없으나 집단으로 몰려와 잡아먹을시는 방조테잎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

• 9월초순 논물을 깊이 가두었다가 배수로에 마대설치로 수확 또는 논두렁주변 웅덩이를 파놓고 풀을 베어다 놓으면 그곳으로 모일 때 수확 • 왕우렁이는 현재 식용으로 판매되고 있음 • 식용이용 : 우렁이 된장째개, 우렁이 해장국등 다수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