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건강을 생각하는 평택 우렁이 농장
작성일작성일작성일 : 08-01-20 12:22

우렁이 농법

페이지 정보

글쓴이 : 우렁이천국

작성일 조회 : 6,597회

본문

 우렁이농법이란

벼 농사에 있어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우렁이를 방사하여 논에서 잡초와 풀을 방제하는 농법이다.

 우렁이 생태와 특성

왕우렁이는 토종우렁이와는 형태만 비슷할 뿐 알로서 번식하는 아주 다른 종류이다. 왕우렁이는 폐호흡을 하면서 물속 밑바닥을 배,다리로 기어다니며 생활하지만 먹이를 먹거나 물속의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수면위로 떠오른다. 먹이 습석은 잡식성으로 채소 수초 연한 풀등을 먹으나, 물밖 수면위로 올라온 것은 먹지 못한다. 양식장에서는 사료를 공급하고 있다. 양식은 다른 용이며 자세히 보면 구별할 수 있으며 교미후 3~7일후에 선홍색의 알덩어리 (약 200~400개)를 물 밖의 벼,풀잎이나 서식지 시설물의 벽에 붙여 산란한다.

왕우렁이는 야행성이며 생존수온은 2 ℃에서 최고 38℃에며 적정 수온은 18℃ ~ 25℃정도이다. 우렁이의 활동은 주로 밤에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왕성하며 수온이 9℃이하로 떨어지면 움직이지 않는 동면상태로 들어간다. 먹이는 수면에 접하거나 물속의 먹이만을 먹기 때문에 물밖의 풀은 먹지 못한다. 이를 이용하여 제초용 우렁이로 활용한다. 이동은 배,다리로 이동하지만 이동거리는 그렇게 넓지 못하나. 그러나 물살의 흐름을 따라서는 장거리 이동도 가능하다. 그러나 물이 없는 곳에서는 동면상태로 들어간다.

 방사할논의 준비작업

① 논에 있어서는 평탄작업이 가장중요하다. 논에 물을 대었을때 물이 없는 곳에는 우렁이가 가지 못해 제초효과를 거둘수 없다.

② 물의 들어오는 곳과 물이 나가는 곳, 특히 물이 빠지는 곳으로 물의 흐름을 따라 우렁이가 몰리므로 이곳에 망을 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물을 댈때와 뺄때는 주의하고 우렁이가 이곳에 몰리면 떠서 다시 방사한다.

③ 논두렁을 평상시 보다 약간 높이는것이 좋다. 비가 많이와도 논두렁을 넘어 물이 흐르지 않고 지정된 배수로로만 흐르면 우렁이 유실은 막을 수 있다.

 제초용우렁이 크기 및 투입시기

① 크기 : 우렁이에 있어서 가장 왕성한 시기(사람으로 따지면 청소년시기)는 검지 한마디, 약직경 2~3 cm 크기 정도가 가장 활용적이다.

② 투입시기 : 우렁이를 넣는 시기는 이양후 모의 활짝에 따라 3~7일사이에 넣는 것이 가장효과적이다.

③ 투입량 : 200평기준 3kg ~ 4kg 정도이다.

④ 투입시 주의 사항 : 논의 전체에 골고루 투입한다.

 우렁이를 넣은 후의 논관리

① 물이 적정하게 있어야 수면아래에서 올라오는 풀을 먹을 수 있다.

② 농약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장마기간에 문고병이나 이화나방등의 농액은 쳐도 죽지는 않는다.

③ 황새가 많은 곳에서는 반짝이를 이용하여 대치한다.

 왕우렁이 농법의 효과

① 우리몸에 특히 좋지 않은 제초제와 비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제초제가 뿌려진 논에는 거의 모든 생물이 살수 없다.)

② 추수후 우렁이는 그대로 땅속에 들어가 유기질 비료가 된다. (우렁이에는 칼슘,키토산,단백질등)

③ 또한 껍질은 땅의 공극률을 좋게 하며 미생물의 집이 되기도 하며 우렁이의 분비물로 이해 추수후 땅이 부드러워 진다.

④ 또한 오리농법에 비해 벼에게 스트레스를 거의 주지 않는다.

 제초효과

약 98% 달하는 제초효과를 볼 수 있다. (이앙초기 제초제와 중기 제초제를 2회 살포한 곳의 제초효과는 약 91%정도)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

왕우렁이 농법의 쌀 생산량은 96년 시험결과 10a당 527kg으로 관행농법의 538kg에 비하여 2.3%감소하였다. 이것은 왕우렁이 농법에서는 비료와 제초제뿐만 아니라 병충해 방제에 필요한 각종 농약을 가능한 살포치 않은 결과이다.

 월동 및 피해에 대한 보고

왕우렁이는 열대성 연체동물이다. 생존 한계온도는 2℃이지만 9℃이하로 수온이 떨어지면 움직이지 않는 동면상태에 들어간다. 우리나라의 경우 11월초면 왕우렁이는 땅속 약 10cm이상 들어가 동면하므로 얼지 않고 살지만 왕우렁이는 약 5cm정도 들어가므로 영하 3℃이하의 기온이 3일정도이면 습도를 머금고 있는 우렁이는 얼어 죽게 된다. 또한 왕우렁이는 우리나라 우렁이와는 비교도 안될 만큼 몸집이 크기 때문에 우리나라 토종우렁이와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일부 사람들이 변종을 들어 우려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토종우렁이는 새끼를 낳는 태생인데 왕우렁이는 알을 낳는 난태생으로 교잡자체가 불가능하다.

최근 방송에서 동면되어 화제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일부지역에서 그것도 조건이 맞아야 한다. 즉 땅속에서 솟아나는 물이 계속있는 수렁이 있는 곳과 날씨가 영하 5℃이하는 떨어지지 않는 곳이라야 한다.
오시는 길 top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동청리 665 TEL.031-666-6166 FAX.031-666-4144 사업자 등록번호 : 125-91-21336

대표자 : 최회정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0-경기송탄-58 COPYRIGHT (C) 평택우렁이농장 ALL RIGHTS RESERVED.